모노폴리단행본



단행본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페이지 정보

작성자 모노폴리 작성일25-03-12 15:24 조회60회 댓글0건

본문

3699361425_g1EvBZ9u_653cd3cc557f1c6f90935e3dc67cc7a1d8be446d.jpg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부제: 삶, 언어 그리고 음악
나주리 지음 ㅣ 2025년 4월 1일 발행 ㅣ 신국판 변형 | 324쪽ㅣ 978-89-91952-89-8 ㅣ 20,000원

 


바흐의 음악은 여전히 음악 예술의 끝이고 시작이라고 여겨진다. 이에 단호히 이견을 제기하기란 쉽지 않다. 오페라를 제외한 당대의 모든 음악 장르를 당대의 언어, 양식, 형식, 사상으로 다루었으되, 그리 빚어진 작품들은 참으로 독창적이고 완결된 것이었다. 바흐는 이렇게 옛것들을 완성해 후대에게 전해주었으며, 지금까지도 바흐의 음악은 음악 예술의 절정과 원천으로 향유되고 있다. 이 책은 그러한 예술을 창조한 바흐가 살았던 삶을 조망한다. 바흐의 기악과 성악 장르 및 작품들도 모두, 두루 세심하게 들여다본다. 그리고 지극히 바흐다운 작품과 언어, 양식, 작법, 창작 원리 및 사고, 역사성을 짚어본다. 바흐의 음악 저 깊숙한 곳에 늘 자리하고 있는 바로크의 음악 수사학과 정서론에 대한 이해도 꾀해본다. 이 책은 바흐의 간략한 전기이고, 친절하면서도 섬세한 바흐의 작품 해설집이며, 심도 있는 바흐 창작 연구서이다. 이 책은 또 우리의 바흐 학자가 쓴 첫 바흐책이다.


목차

I. 바흐의 삶, 음악, 예술

   1. 바흐의 생애와 음악삶 

   2. 바흐의 성악 

   3. 바흐의 기악 

   4. 〈음악의 헌정〉 

   5. 〈푸가의 기법〉 


II. 자유 안에서 엄격을, 엄격 안에서 자유를: 모테트 〈주께 새 노래를 불러드리라〉 BWV 225

   1. 바흐의 모테트, 그 역사적이고 수용사적인 의미 

   2. 〈주께 새 노래를 불러드리라〉의 창작 시기 및 배경에 대한 여러 가설들 

   3. 모테트 〈주께 새 노래를 불러드리라〉 

   4. 자유 속의 엄격, 엄격 속의 자유 


III. 바흐의 교회칸타타와 수난곡의 악기들, 그리고 그것들의 상징

   1. ‘음악가’ 바흐의 상징 수단, 악기 

   2. 바흐와 악기, 바흐의 악기 

   3. 악기들의 상징적 의미와 쓰임새, 그리고 그 근거 

   4. 바흐의 악기, 바흐의 악기 상징: 성서 해석학의 체계 


IV. 파토스와 로고스의 오르간 음악: 〈토카타와 푸가〉 BWV 540

   1. 기원 

   2. 토카타 

   3. 푸가 

   4. 파토스와 로고스의 오르간 음악 


V. 〈바이올린 솔로를 위한 소나타와 파르티타〉, 그리고 그 푸가들: 특이성과 관계성에 대하여

   1. ‘정신 승리’의 음악 

   2. 〈바이올린 솔로를 위한 소나타와 파르티타〉의 기원에 대한 가설들 

   3. 〈바이올린 솔로를 위한 소나타와 파르티타〉의 다층적 구조 

   4. 무반주 바이올린 솔로를 위한 푸가들 

   5. 커다란 코스모스 속 작은 코스모스 


VI. 다섯 번째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의 대칭 원리, 그리고 미래를 향한 아이디어

   1. 대칭의 원리와 미래 예시적 아이디어의 작품으로 

   2. 창작 시기에 대한 여러 가설들 

   3. 바흐의 헌정문과 작품의 기원 

   4. 다섯 번째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BWV 1050 

   5.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전형의 창조적이고 미래적인 극복 


VII. 바흐의 ‘하이브리드’: 협주곡과 푸가의 혼합

   1. 전통과 정통에 대한 바흐의 도전 

   2. 바흐의 실험적 하이브리드: 협주곡과 푸가의 혼합 

   3. 협주곡과 푸가의 하이브리드: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BWV 1047, 3악장의 경우 

   4. 왜곡 아닌 공유로 실현된 하이브리드 음악 


VIII. 바흐의 쳄발로 협주곡: 근대 피아노 협주곡의 기원

   1. 협주곡의 개념과 변화 

   2. 바흐의 솔로 쳄발로 협주곡, 그 역사적 의미 

   3.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쳄발로 협주곡에서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으로 

   4. 미래를 위한 완성된 설계에서 미래의 완성까지 


부록 1. 정서를 그리는 바로크 음악: 정서론

부록 2. 말하는 바로크 음악: 음악수사학 


지은이 나주리

한양대학교 피아노과를 졸업하고, 독일 마부르크대학교에서 음악학(Musicology) 석사학위를, 라이프치히대학교에서 음악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동덕여자대학교 음악학부 교수, 한국서양음악학회 부회장 겸 편집위원장이다.바흐와 바흐 수용사, 바로크와 전고전주의 음악, 음악 후원, 여성 음악가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60여 편에 이르는 관련 논문들을 국내외에서 발표했다. 그리고 바흐는 바흐다, 메세나와 상상력. 근대 유럽의 문학과 예술 후원(공저) 등의 저서를 썼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